AWS의 모든것(인강) 15

1. Elastic Load Balancer (1)

Availability Zones : 4 사용 가능한 서버존이 4개이며 하나가 사고가 나서 사용불가능 해도 나머지가 작동한다.  Horizontal Scalability (수평적 확장):작은 여러 개의 시스템(서버나 데이터베이스 등)을 추가하여 확장하는 방식입니다.그림에서 작은 원형의 데이터베이스들이 여러 개로 늘어나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특징: 서버나 시스템의 개수를 늘리는 방식으로 확장하는 것을 의미하며, 주로 클러스터링이나 분산 시스템에서 사용됩니다. 트래픽이 많아지거나 데이터가 증가할 때 서버를 추가하여 처리량을 늘릴 수 있습니다.Vertical Scalability (수직적 확장):한 개의 시스템의 성능(메모리, CPU 등)을 향상시켜 확장하는 방식입니다.그림에서 하나의 작은 데이터베이스..

11. Elastic Compute Cloud - AMI 만들기

인스턴스에 마우스 우클릭 -> Image and templates -> Create imageImage name만 정하고 Create 한다.만들고 나면 왼쪽 메뉴에 Images가 생긴다. AMIs 항목을 클릭체크하고 Launch instance from AMI 클릭인스턴스 이름을 정하고, 인스턴스 타입, Key pair, 보안 그룹은 우리가 만들었던거 그대로 사용한다.이미지를 이용해 만든 인스턴스이다.  인스턴스를 이미지화 했고 그 이미지를 인스턴스로 새로 만들었다. 현재 원본 인스턴스와 같은 상황이다. 이미지로 만든 인스턴스를 커넥트 해본다.리눅스 디폴트 이름인 root로 되어있는데 ubuntu로 바꿔준다.

8. Elastic Compute Cloud - Elastic Block Store

EC2 대쉬보드로 들어와서 Instances 들어가기Storage에서 Volume ID 클릭Volume 정보를 볼 수 있다.왼쪽 메뉴의 Volumes에 들어가서 오른쪽 상단의 Create volume 클릭이렇게 설정하고 생성한다.현재 볼륨을 인스턴스에 적용시키고 싶다. 볼륨의 상태가 사용가능해질때까지 기다린 후 체크한다.Actions -> Attach volume 클릭현재 사용중인 인스턴스 목록이 보인다 여기에 적용한다. 주의! 아까 우리는 2a로 만들었는데 호환이 안되서 만들었던 볼륨을 삭제하고 새로 2c 볼륨을 만들어서 적용한다.

7. Elastic Compute Cloud - EC2에 접속하는 두가지 방법

자신의 컴퓨터로 AWS 인스턴스에 접근하는 방법자신의 컴퓨터에 AWS 폴더를 하나 만들고 keypair 파일을 넣어준다.chmod 400 newkeypair.pem 으로 권한 설정을 한다.  숫자조합 4 0 0 은 각 자리마다 의미가 있다. 첫 번째 자리: 소유자(owner) 권한두 번째 자리: 그룹(group) 권한세 번째 자리: 기타 사용자(other) 권한각 자리에는 숫자로 권한을 표현하며, 각 숫자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권한숫자설명읽기4파일을 읽을 수 있는 권한쓰기2파일을 수정할 수 있는 권한실행1파일을 실행할 수 있는 권한 즉, chmod 400 newkeypair.pem은 newkeypair.pem 파일을 소유자만 읽을 수 있도록 설정하고, 그룹 및 기타 사용자는 이 파일에 아무런 권한도 가지..

4. Elastic Compute Cloud - 고정 IP 할당

지난시간에 켰었던 서버를 끄도록 한다. 끄지 않으면 과금이 발생한다. IP 할당을 하기 위해 다시 킨다. 그리고 서버를 Stop하고 다시 Run 시킨다면 Public IPv4 address가 바뀌게 된다.왼쪽 메뉴에서 Elastic IPs 클릭 오른쪽 상단의 네모박스 클릭 그대로 Allocate 클릭한다.고정된 IP가 할당이 된다.껐다가 다시 켰던 서버가 보인다. 그것을 클릭하고 다음으로 넘어간다. 이제 Public IP는 이걸로 고정이 되었다. 하지만 이렇게 IP를 할당하면 과금이 발생한다. 따라서 다시 해제하도록 한다.먼저 인스턴스와 IP를 분리해주고Release Elastic IP addresses로 삭제해준다.그리고 인스턴스를 아예 삭제해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