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형변환(2024-07-23)

note994 2024. 7. 23. 19:43

명시적인 형변환

double형 변수를 int형으로 형변환

float타입을 int 타입으로 형변환

정수형을 실수형으로 형변환

 


자동 형변환

먼저 변수형의 크기를 비교해보자

byte(1) → short(2) → int(4) → long(8) → float(4) → double(8)

 

long(8)보다 float(4)가 큰 이유는 float는 부동 소수점 방식을 사용하기 때문에 훨씬 넓은 숫자 범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byte형의 변수를 더 큰 자료형인 int에 옮기면 자동으로 형 변환이 일어난다.

 

char 형태의 변수에는 'A'를 넣었다. 이를 int형 변수에 넣으니 A의 아스키코드 값인 65가 출력되었다.

long 타입에 int를 넣으면 바로 long으로 변환

int -> double 같이 정수형에서 실수로 변환도 된다.

 


크기가 다른 두 타입의 연산이 일어날 때

작은 크기의 타입이 큰 크기의 타입과 연산이 일어날 때 결과값은 큰 자료형이 된다.

int + double의 연산결과는 double 형으로 나온다.